인공지반 특히 옥상공간에 채소원, 텃밭등을 전용으로 만드는 농장 개념을 도입할 경우에는 기본적인 요소기술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먼저, "건강한 옥상농장 만들기(CITY SKY FARM)!"의 시작은 "건축물의 구조"를 고려한 토심의 결정등에서 부터 이루어져야 하며, 이동식(컨테이너형)의 텃밭공간을 구성할 것인지 고정식(베드형)으로 설치할 것인지에 따라 기반시설이 달라야 한다. 컨테이너형은 목재로 제작하거나 플라스틱 기성제품, 스티로폼등의 재활용 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수량이 어느정도 이상의 경우에는 베드형이 사용자의 운영측면에서나 내구성면, 도시환경 배려등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비용면에서도 저렴할 수 있다. 베드형의 경우 토양포설부분의 바닥에 별도의 추가 방수를 하거나 방수를 대체하는 수준의 방근시트를 설치하고 경계재를 설치한 다음 배수판과 분리막을 부설한다. 컨테이너형이나 베드형 모두에 가장 중요한 부문이 토양이다. 도시농업용 특히 옥상농원에 사용되는 토양은 가벼운 경량토양을 기본으로 보수성과 배수성을 가져야 하며, 장기적으로 경시변화가 최소화 되어야 한다. 야채등의 생산에 중요한 영양분을 함유한 토양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이다. 순수 자연 기반재들로 구성된 "건강한 토양이 건강한 야채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관수설비가 보조적으로 채택될 필요가 있으며, 식물지지대를 설치 가능한 구조가 보조적으로 설치되어야 태풍등에 식물의 전도를 막을 수 있다. 컨테이너형이든 베드형이든 풍압에 대한 대응력을 갖춘 시스템이면 더욱 안전하다. 이미 한국도시녹화는 서울시 공공 및 민간지원사업, 인천 및 경기도 공공 및 민간지원사업등에 도시농업 공간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왔다. 지금까지 많은 "옥상텃밭 만들기" 프로젝트에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옥상위의 논과 밭, 옥상농장"에 최적화된 시스템과 기자재를 개발해 손쉽게 만들기가 가능해 졌다. 기자재중 자착식 방근시트는 일본의 옥상녹화와 도시농원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Root Guard" 이다. 경계재, 배수판, 분리막, 푸드쏘일등 일체화된 제품군으로 공급되어 소비자가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난해 저희 한국도시녹화는 서울농업기술센터와 흥사단 옥상농원(종로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강남구) 옥상농장, 가산종합사회복지관 옥상농원(금천구), 세하유치원 옥상농원(동대문구), 구세군 홍제동데이케어센터 옥상농원(서대문구), 햇빛어린이집 옥상농원(용산구),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도시농원(영등포구)등을 컨테이너형으로 진행했다. 농진청과 함께한 무궁화어린이집 옥상농장(종로구 궁정동)은 베드형과 컨테이너형을 함께 도입한 사례다.
서울시 민간지원사업과 경기도 경기농림진흥재단등과 함께 진행한 옥상녹화프로젝트에도 채소밭정원을 반영했다.
벧엘몬테소리유치원 옥상생태공원(성동구), 목원유치원(구로구), 동화나라유치원 새들의 정원(송파구), 캉스키즈어린이집 옥상생태공원(강남구 대치동), 미아3동성당 부속유치원(강북구), 킹스키즈영어유치원(송파구), 강동어린이회관 옥상생태공원(강동구), 당산 푸르지오아파트 어린이집 옥상녹화, 근로복지공단 고양, 수원, 인천어린이집(경기도 일산구, 수원시, 인천시), 참사랑어린이집(경기도 안성시), 성미산학교(마포구), 자연유치원(경기도 의왕시), 부산대학교 부속 어린이집 옥상생태공원(부산시)등과 홍익대학교 부속 유치원(마포구), 아란유치원(경기도 용인시), 덕현유치원(경기도 구리시), 도봉초등학교 병설유치원(도봉구), 발안초등학교 병설유치원(경기도 화성시), 별망초등학교 병설유치원(경기도 안산시), 구월서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인천시), 목동 구립어린이집(양천구), 창현유치원(의정부), 신촌유치원(신촌), 양재천사유치원 (서초), 아애뜰어린이집(수원시), 푸른샘어린이집(성북구), 송파어린이회관 옥상 키즈가든(송파구)등에 크고 작은 많은 생태적으로 건강한 옥상농장 만들기 작업을 즐겁게 해왔으며, 새해에도 저희는 부산시청사 옥상녹화등에 도시농업(옥상농장)의 모델들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갈 것이다. |